1. X가 들어간 함수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?
X는 iterative(반복적) 연산을 수행하는 함수를 의미합니다. 즉, X가 포함된 함수는 테이블의 각 행을 반복하면서 특정 계산을 수행합니다. 이 계산은 함수의 두 번째 인수로 전달되는 표현식에 따라 각 행에서 개별적으로 평가된 후, 그 결과가 집계되어 최종 결과를 반환합니다.
2. X가 포함된 함수의 예시
DAX에는 다양한 X 함수가 있으며,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SUM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를 모두 합산합니다.
- AVERAGE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의 평균을 계산합니다.
- RANK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하여 순위를 매깁니다.
- MIN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의 최소값을 반환합니다.
- MAX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의 최대값을 반환합니다.
- COUNT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값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를 카운트합니다.
- DISTINCTCOUNTX: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고유한 값들의 개수를 카운트합니다.
3. X가 붙은 함수와 없는 함수의 차이
X가 붙은 함수와 붙지 않은 함수의 주요 차이점은 계산 방식과 적용 대상입니다:
X가 없는 함수:
- 집계 함수로, 특정 열(column) 전체에 대해 계산을 수행합니다.
- 예를 들어, SUM 함수는 지정된 열의 모든 값을 단순히 더합니다. 계산은 열 단위로 수행되며, 각 행에서 개별적으로 계산을 수행하지 않습니다.
- 사용 예: SUM(Sales[Amount])는 Sales 테이블의 Amount 열의 모든 값을 더합니다.
X가 있는 함수:
- 반복 함수로, 테이블의 각 행에서 지정된 표현식을 평가한 후, 그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결과를 반환합니다.
- 예를 들어, SUMX 함수는 테이블의 각 행에 대해 특정 계산을 수행한 후, 그 결과를 모두 더합니다. 이 함수는 행 단위의 계산을 기반으로 합니다.
- 사용 예: SUMX(Sales, Sales[Quantity] * Sales[Price])는 Sales 테이블의 각 행에서 Quantity와 Price를 곱한 후, 그 곱의 합을 계산합니다.
4. 테이블의 각 행을 반복하면서 특정 계산을 수행한다는 의미
테이블의 각 행을 반복하면서 특정 계산을 수행한다는 것은 X가 포함된 함수가 테이블 내 모든 행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지정된 계산을 수행한다는 뜻입니다.
예를 들어, SUMX 함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합니다:
- 단계 1: 테이블의 첫 번째 행으로 이동하여, 그 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계산(예: 곱셈)을 수행합니다.
- 단계 2: 두 번째 행으로 이동하여, 동일한 계산을 수행합니다.
- 단계 3: 이 과정을 테이블의 모든 행에 대해 반복합니다.
- 단계 4: 각 행에서 얻은 결과를 합산하여 최종 결과를 반환합니다.
즉, X 함수는 단순히 열을 통째로 집계하는 것이 아니라, 각 행에서 개별적으로 계산을 수행한 다음 그 결과들을 모아 최종 값을 도출하는 방식입니다.
5. 결론
- X가 붙은 함수는 행 단위의 계산을 반복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값을 도출합니다.
- X가 없는 함수는 열 단위의 계산을 수행하여 전체 열에 대한 집계 결과를 제공합니다.
- 두 유형의 함수는 각각 다른 목적에 맞게 사용되며, X 함수는 보다 복잡한 계산이 필요할 때, 없는 함수는 단순 집계를 원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.
지금 바로 배움을 시작하세요! 우리의 고객은 BI에 아무것도 모르는 고객들입니다.
POWER BI 인강
한정된 시간 동안, 지금 등록하고 15% 할인 혜택을 누리세요!😊
Couponcode: COUPONBLOG

강의사이트: Academy-bi.com
유튜브: Academy-BI - YouTube
#powerbi #powerbi인강 #powerbi강의 #파워bi #powerbi교육 #파워bi교육 #파워bi강의
'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OWER BI 강의] X축 정렬이 시간 순이 아닌 텍스트나 숫자 순으로 정렬될 때 (1) | 2024.09.19 |
---|---|
[POWER BI 강의] BI에서 Python을 사용하는 세 가지 방식 (2) | 2024.09.14 |
[POWER BI 강의] Calculate에서 Filter함수보다 부울 식을 쓰는 이유 (2) | 2024.09.14 |
[POWER BI 강의] Embed(임베드) 태그가 무엇인가요? (2) | 2024.09.14 |
[POWER BI 강의] MS Fabric이란 무엇인가요? (1) | 2024.09.13 |